티스토리 뷰

역사

불멸의 제국 오스만 제국의 역사

역사문화 탐험가 2022. 4. 20. 15:34

안녕하세요. 오늘도 저번 포스팅에 이어 터키의 역사에 대해 마저 알아보려 합니다. 저번 시간에 터키 제국의 전반적인 기본 상식과 10세기 이전까지인 터키의 역사를 알아보았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혼란기인 디아도코이 시대를 지나쳐 나타난 돌궐의 이야기를 마저 이어서 보겠습니다.

 

터키 카파도키아의 바위 계곡

 

불멸의 제국 오스만 제국의 역사

 

1. 11세기 이후 14세기 후반

1) 셀주크 제국

이후 서돌궐은 이슬람화 되었는데 그 중 오구즈 부족이 셀주크 제국의 기원이 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드디어 11세기에 중반에 셀주크 제국이 등장하게 되는데 이들은 가즈니 왕조와 압바스 왕조, 그리고 당시 아나톨리아를 지배하던 비잔틴 제국을 누르고 아나톨리아와 오리엔트를 석권합니다.


셀주크 제국은 말리크샤 1세 시기에 전성기를 보냈는데 11세기 중반부터 12세기 후반까지 중앙아시아와 중동 일대를 다스린 수니파 무슬림 왕족이며 중앙아시아 부족 연합체에서 발원하여 중동에서 트르크 세력의 시조를 이루었습니다.

 

2)  룸술탄국과 칭키즈칸의 등장

그러나 12세기 말에 이르러 셀주크는 완전히 멸망합니다. 셀주크 제국의 통합은 오래가지 못했고 산산이 분열되는데 그중 셀주크 왕족이었던 쉴레이만이 세운 룸술탄국이 아나톨리아를 지배하게 됩니다. 이후 룸술탄국은 킬리지 아슬란 1세와 킬리지 아슬란 2세 시기를 거치며 아나톨리아에 침입한 군중 십자군을 처치하고 비잔틴 제국에 패배를 안겨 주었으며, 이후 1240년 흑해 연안까지 진출해 최대 판도를 이루었습니다. 

그러나 룸술탄국 이렇게 아나톨리아에서 십자군 비잔틴 제국과 대립하다가 13세기에 전세계를 석권한 몽골군에게 박살나고 이후 일칸국의 속국이 되어 열망합니다. 이후 아나톨리아는 일칸국의 지배를 받게 되는데 일칸국은 칭기즈칸의 손자인 훌라구 칸이 1255년 중동 원정을 지시하여 12588년에 건설한 이슬람 국가입니다.

 

이렇듯 튀르크족과 현재 터키의 아나톨리아 지역은 기원전 12세기 히타이트가 멸망한 이후부터 기원후 14세기 후반까지 약 2700년 동안 여러 제국들의 식민지에 머무르고 있었습니다. 결국 룸술탄국은 역사에서 사라지고 13세기 말에 비잔틴 제국과 맞닿은 북서부 국경 비즈니아 지방의 족장 오스만 1세의 세력이 강성해지기 시작합니다. 이것이 바로 불멸의 제국 오스만 제국의 시작입니다.

 

 

2. 불멸의 제국 오스만 제국의 역사

1) 오스만 제국의 시작(1299~1922)

오스만 제국은 이 오스만 가문을 왕가로 하여 현재 터키의 최대 도시인 이스탄불을 수도로 정하고 서쪽의 모로코부터 아나톨리아 동쪽에 아제르바이잔, 북쪽의 우크라이나에서 남쪽의 예멘에 이르는 광대한 영역을 지배했던 다민족 수탄 제 이슬람 제국입니다.

 

2) 오스만 제국의 전투와 영토 확장

오스만 제국은 오르한 1세, 무라트 1세, 바예지드 1세로 이어지며 비잔틴 제국과 발칸 반도의 여러 지역을 정벌하였습니다. 이 시기 오스만 제국은 상비군 예니체리를 창설하는 등 국가 제도를 정비하였으며, 트라키아에 진출하였습니다. 또한 코소보 전투에서 세르비아 원국 등 여러 발칸 왕국들을도 격파하였으며 불가리아에서 이코 폴리스 전투를 벌여 헝가리 왕국을 필두로 한 십자군을 물리치고 유럽으로 영토를 확장하였습니다.

 

또 1402년에 앙카라 전투에서 티무르 제국에 패하여 일시적으로 정체하였으나 즉시 회복하였습니다. 그리고 결국 오스만 제국은 메흐메트 2세 시기에 비잔틴 제국의 수도 콘스탄티노플을 공략하여 비잔틴 제국을 멸망시키고 수도로 삼게 됩니다.


1512년 셀림 1세의 시기에는 맘루크 왕조까지 멸망시켜 이집트 및 이라크 지역까지 지배 영역을 확대하였으며 맘루크 왕조가 소유하고 있던 이슬람교의 2대 성지-메카와 메디나의 보호권마저 장악하여 이슬람 세계의 맹주로 군림하게 됩니다.

 

3) 오스만 제국의 전성기 : 쉴레이만 1세

쉴레이만 1세 시기에 이르면 오스만 제국은 최대의 전성기를 보냈는데 그 영역은 중앙 유럽과 북아프리카에까지 확장되었습니다. 쉘리이만 1세는 즉위하면서 우선 베오그라드 정복으로 헝가리에 진출하였고 헝가리의 땅 대부분을 점령합니다.

한편 동쪽으로는 사파비 왕조를 공격하여 바그다드까지 손에 넣었으며, 남쪽으로는 예멘에 출병하여 아덴을 정복하였습니다.  1538년에는 프레베자 해전에서 스페인과 베네치아 공화국 등을 위시한 기독교 세계의 연합 함대를 격파시켜 지중해 해상권의 거의 대부분을 손아귀에 넣는 데 성공합니다.

쉴레이만의 치세는 군사적 성공 외에도 건국 이래 오스만 제국이 형서해온 국가 제도가 완성 단계에 이르러 명군으로 추앙받았습니다. 그러나 쉴레이만 1세 사후 지중해 무역이 쇠퇴하고 대서양 삼각 무역이 번성하여 스페인 제국이 신흥 강자로 떠오르면서 내정이 어려워진 오스만 제국의 몰락은 이때부터 시작됩니다. 쉴레이만 1세 사후 1571년 레판토 해전에서 오스만 함대는 기독교 세계 연합 함대에게 패하여 지중해의 패권을 상실한 이후부터 오스만 제국의 내리막은 시작됩니다. 

 

4) 오스만 제국의 쇠퇴와 여러 나라들의 독립

이후 서유헙 기독교 세력이 득세하여 발칸 반도의 여러 제국들이 독립하였으며 서구열강과의 경쟁에서 뒤처지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위기에 오스만 제국도 반전을 위해 노력하였는데 1808년에 즉위한 마흐무트 2세와 1839년에 즉위한 압뒬메지트 1세는 탄지마트로 불리는 서구화 개혁을 시도했습니다.

또한 1876년 대상 미드하트 파샤의 시도 아래 서구식의 개혁을 진행하지만 이 모든 노력은 실패하고 맙니다. 그리하여 1718년경 오스트리아가 헝가리에서 튀르크족을 추출했으며 러시아는 1783년에 크리미아를 합병했습니다. 그리스도 1830년 영국의 지원을 받고 독립하였습니다. 1881년에는 루마니아, 세르비아, 몬테네그로가 독립하였으며 1908년에는 불가리아, 1912년에는 알바니아가 독립하였습니다. 

19세기 말에는 오스만 특유의 다민족 지방자치제인 밀레트가 완전히 붕괴하면서 제국은 쇠퇴하기 시작합니다. 대부분 이를 막기 위해 아르메니아를 탄압하다 아르메니아 대학살이 발생하는 등 아랍인들을 비롯한 피지배 민족의 독립 열망은 더욱 가속화되어 결국 제국은 분열하게 됩니다.

 

5) 세계대전 패배후 세브르 조약과 로잔 조약

결국 오스만 제국은 1차 세계대전의 패전국이 되어 전범국가로 지목됨으로써 세브르 조약을 맺고 영토 대부분을 상실하여 아나톨리아와 유럽의 일부만을 지니게 되었습니다. 이후 약해진 오스만을 침공한 그리스 왕국과의 전쟁이 발발하는데, 1922년 터키의 영웅 무스타파 케말 아타튀르크의 지휘 아래 그리스 군을 격파하고 새로운 로잔 조약을 맺게 됩니다.

이후 메흐메트 6세가 폐위됨으로써 오스만 제국은 해체되었고 이 로잔 조악으로 현재 터키 공화국의 영토가 확정되게 됩니다.

 

3. 터키 공화국의 건국(1923년)

무스타파 케말 아타튀르크는 1923년 터키 공화국을 건국하고 독립을 선언하였습니다. 이후 무스타파 케말 아타튀르크 는 터키의 정치, 경제, 사회 체제 전반에 걸쳐 세속적 이슬람 개혁 정책을 추진합니다. 그리하여 오늘날 터키는 비교적 온건한 민주제를 의식한 수니파 이슬람 국가가 됩니다.

 

또 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중립을 유지하다 추축국이 불리해지자 1945년 독일 일본에 선전포고를 하기도 합니다. 1961년에는 터키 제 2공화국이 출범하면서 유럽과 협력하였으며 비교적 민주주의가 잘 발전해오고 있습니다.

그러나 1963년 그리스 터키 키프로스 분쟁이 있었습니다. 그리고 80~90년대 과격한 쿠르드족 불리지 운동 등으로 인권 문제 소수민족 독립 문제로 국제적 갈등이 있기도 하였습니다. 최근에는 에르도안 대통령의 지도 아래 터키는 2000년대 급속하게 성장한 나라가 됐습니다.

 

 그러나 에르도안 체제는 쿠데타 세력을 숙청한 이후 점점 이슬람 독재 체제로 나아가고 있으며 이 때문에 2013년부터 터키 내에서 정치적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터키는 최근 경제 및 군사 대국이자 지역 강국으로서 이슬람 국가들의 롤모델로 인정받고 있기도 합니다.

 


참고 자료

이번 글 또한 저번 글에 이어 역사 패왕 유튜버님의 한번에 살펴보는 터키 역사 영상을 참고하였습니다. 터키 외에도 다양한 세계 역사에 대한 지식을 쌓고 싶은 분들께 추천드립니다.

 

터키 기본 상식이 궁금하다면

 

 

아시아와 유럽을 잇는 터키의 역사

저는 아직 유럽 여행을 가보지 못했는데요. 개인적으로 유럽 여행을 간다면 제일 먼저 터키를 가보고 싶습니다. 왜냐하면 터키를 다녀온 언니가 너무 좋았다고 유럽과 아시아와 다른 터키만의

dlfdjrrkwmdk.tistory.com

댓글